배의 문헌을 살펴보면 삼한 시대부터 기록이 나오는 전통적인 토속 과일이다. 일제 강점기에 신품종들이 많이 들어왔는데 신고배가 그중 유명하다. 일본 국내 지명을 붙이던 당시 명명법에 따라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이었던 타이안 위신의 일제강점기 명칭인 신고산에서 유래하였다.
배는 껍질을 누르께한 빛을 띠고 과육은 흰색을 띠고 단단하면서 단맛이 나는 과일이다. 아삭아삭한 식감, 시원한 단맛, 풍부한 과즙 때문에 차게 먹으면 달고 시원하니 좋다. 사과와 같이 한국 사람들이 즐겨 먹는 과일이며 전라남도 나주시의 특산물이다. 사과와 같은 장미 나무의 종류라서 꽃이 매우 비슷하다. 보통 판매되는 배들은 크기가 큰 편이기 때문에 하나를 다 먹으면 배부르게 느껴질 수 있다. 서양배보다는 생과일로 먹어도 맛이 풍부하고 무엇보다도 식감이 좋기 때문에 동양 배를 더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화라는 말이 들어가는 이름들은 배꽃을 한자어로 옮긴 것이 대부분이다. 이화학당, 이화여자고등학교가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이화학당은 고종황제가 한국 최초의 여학교를 설립한 부인의 공적을 치하하고 격려하는 뜻에서 하사한 이름이다. 당시에 학당 주변에 배꽃 나무들이 흐드러지게 피어나고 깨끗하고 맑고 아름다웠으면 하는 의미에서 지었다고 한다.
배나무는 한 과일 안에서도 가지에 달린 부분보다 꽃이 붙은 쪽이 더 달고 맛이 좋다. 보통 배는 완전히 익었을 때보다 조금 덜 있었을 때 따서 판매하기 때문에 배를 구매하고 난 뒤에는 냉장고에 며칠 두었다가 먹는 것이 맛이 더 좋다. 과수원에서는 직접 나무에서 다 익은 것을 사서 먹을 수도 있는데, 시중 배와는 다르게 굉장히 달고 물기가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전라남도 나주시의 배는 당도가 높은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데, 마이클 잭슨이 먹어보고 수십 박스를 사 갔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나주시의 배는 덴마크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는데 한국대사관에서 덴마크 왕실에 크리스마스 선물로 나주 배를 보냈는데 이게 엄청난 대박을 기록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나주 배를 맛본 왕실은 나주 배를 보내달라고 부탁하였으나 농산물 수출품은 검역으로 인해서 수출과 수입이 까다롭다 보니 쉽게 보내 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덴마크 왕실이 다리 역할을 하고 덴마크에서 자국의 농업기술 전수 조건으로 배를 가져올 수 있었다고 한다.
배를 먹는 방식이나 섭취하는 방식은 굉장히 다양하다. 보통은 생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나 고기 요리나 김치 요리에 자주 들어가는 재료이다. 배즙은 프로테아제 같은 연육 효소가 있기 때문에 기름기가 별로 없는 우둔살 같은 물건도 얇게 저며 배즙에 재운 다음 조리하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단 너무 배를 많이 넣으면 물러져서 식감을 망치게 되므로 무엇이든 적당히 넣는 것이 좋다. 김치에 배가 들어가면 국물이 시원해진다. 특히 물김치에 넣으면 그 효과는 배가 된다. 고종은 냉면을 즐겨 먹었었는데 냉면 육수를 만들기 위해서 배를 듬뿍 넣은 물김치를 따로 담갔다고 한다.
배로 만든 식품으로는 가장 유명한 것이 갈아 만든 배 음료수와 탱크 보이라는 아이스크림이 유명하다. 두 제품 모두 배의 단맛과 시원한 맛 느낌이 들게 했고 실제로도 과육이 함유되어 있어 식감이 좋아 지금까지도 꾸준하게 사랑받고 있는 제품이다. 배 음료는 요리 재료로 쓰이기도 하고 가성비 좋은 숙취 음료로도 인기가 있다. 배의 수분에는 진해 작용이 있어서 감 걸렸을 때 먹으면 좋다. 대표적으로 먹기 좋은 요리법은 배의 속을 파낸 후에 그 속살과 대추, 꿀을 넣고 푹 쪄서 만드는 배숙이 있다. 매를 먹을 때 느껴지는 특유의 모래 알갱이 같은 것을 석세포라고 부르는데 이게 이 안의 성분을 닦아주기 때문에 식후에 배를 섭취하면 약간의 양치 효과가 있다고 한다. 위와 관련된 속담도 있다고 하니 아예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배는 밤, 감과 함께 제사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과일이다. 요즘은 다른 과일들을 놓기도 하지만 보통 사과, 배는 빠지지 않는다. 또한 배는 선물용으로 많이 쓰이는데 그 이유는 고급스러운 색깔로 인해서이다.
배의 효능은 비타민과 섬유소가 풍부하고, 특히 소화에 도움이 되며 변비에 좋다. 또한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항암효과 및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며 아스파라긴산이 들어있고 당분과 수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숙취 해소에 좋다. 또한 기관지에 좋은 과일로 유명한데 루테올린 성분이 가래를 없애 주고 기침을 완화해 준다.
그러면 서양배와 우리나라 배의 특징은 어떤 것이 다를까. 서양배는 보통 조롱박 모양이며 대부분 푸석푸석하고 물렁물렁하다. 또 요리용 배는 단맛이 전혀 없는 품종도 있어서 이것을 먹게 되면 마분지를 먹는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서양배 품종 대다수는 생식보다는 조리 및 가공해 먹는 것이 적합하다. 배를 통째로 설탕에 절여 먹거나 배로 파이를 만들어 먹는 등 배를 이용한 요리법이 발달하여 있다. 또 통조림으로 만들어서 판매되기도 한다. 그래서 서양에서 자신들의 배 품종을 생각해서 동양 배를 이런 식으로 요리했다가 너무 물렁물렁하고 달아서 음식이 맛이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향은 서양배 쪽이 좀 더 꽃 향에 가까운 상쾌한 향을 낸다. 서양 요리나 술에서 배향이 난다고 표현되는 것은 우리가 아는 배에서 나는 달콤한 향이 아닌 좀 더 서양배 향에 가까운 상쾌하고 화사한 향이다. 일본에서는 과수 농업으로 유명한 지역에서 동양 배 품종을 많이 재배하며 수확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라 가을쯤에 그 농가를 찾는 일이 많다고 한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박의 조리법 및 효능 (0) | 2024.08.10 |
---|---|
감의 기원과 효능 (0) | 2024.08.10 |
오렌지의 특징과 품종 및 효능 (0) | 2024.08.09 |
멜론의 특징과 효능 (0) | 2024.08.09 |
복숭아의 특징과 효능 (0) | 2024.08.08 |